KNU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9... · 2012. 8. 31. · 294...

34

Transcript of KNUwebbuild.knu.ac.kr/~china/CHR/chr2012/chr79pdf/chr79-09... · 2012. 8. 31. · 294...

  • 關東軍司令部 滿洲 兵要地圖의 意味*

    -미 의회도서관 소장 20만분의 1 병요지도의 來歷과 意味를 중심으로

    朴 宣 泠 (포스텍)

    Ⅰ. 서 론

    Ⅱ. 관동군 사령부의 군사 비밀 지

    도와 미 의회 도서관

    1. 관동군측량대의 유래와 역사

    적 의미

    2. 관동군사령부의 비밀 지도 소

    장 경위와 의회 도서관

    Ⅲ. 군사 비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1. 병요지도 지역으로 본 의

    2. 병요지도 부호로 본 의미

    Ⅳ. 결 론

    Ⅰ. 서 론

    명치유신 이래로 지도 제작에 관심을 가졌던 일본은 육지측량부를

    신설하여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비밀리에 주변국의 지도 제작에도 힘

    을 쏟았다. “전쟁과 해외 진출에서는 군주도의 기관이 필요불가결하여

    國防 및 防諜上 지도를 통제할 필요가 있다”1)는 것이 강조되었기 때

    문이다.

    일본 제국주의 확장을 위해 매진하던 1931년 일본은 만주를 점령한

    * 본고는 포항공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본고의 는 하버드 대학 GIS센터가, 은 서울대 김민수 교수께

    서 지도 제작에 도움을 주었기에 이에 특별히 감사드린다.

    1) 菊地正浩, 地圖が語る日本の歷史: 大東亞戰爭終結前後の測量地圖史秘話 (東京: 曉印書館, 2007), p.13.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294후 1932년 만주국을 건국하고 1934년에는 관동군측량대를 편성하여 육

    지측량부의 만주 지역 측량 임무를 이어받도록 하였다. 일본은 만주국

    을 건국한 후 만주를 측량할 만주국측량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관동군측량대를 편성하였으며 관동군측량대는 어떠한 지도를 제작하였

    을까?

    1873년 일본 육군은 兵要日本地理小誌를 발간2)한 후 1920년대와1930년대 초는 주로 대흥안령 및 대흥안령 동쪽 지역과 동부 국경 방

    면을 중심으로 병요지지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3) 1934년에 편성된 관

    동군측량대는 육지측량부 파견 부대의 임무를 이어받아 광대한 만주

    지역을 측량하였는데4) 일상적인 지도 제작 이외에 1940년대 특히 태

    평양전쟁 전후로 만주의 소련 접경 지역 군사 극비5) 지도를 대량으로

    제작하였다.

    군사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관동군측량대를 새롭게

    편성한 일본은 일본제국육지측량부가 제작한 지도나 만주국측량부가

    제작한 지도와 달리 특수 임무를 띤 지도 제작을 많이 한 관계로 그동

    안 그 실상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관동군측량대가 제작한 군사

    극비 병요지도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가 없었던 것도 이런 지도 제작

    기관 및 지도 내용과 관계가 있다.6)

    2) 中根淑, 改訂兵要日本地理小誌 (東京: 陸軍文庫, 1873); 中根淑, 増補改訂兵要日本地理小誌 (出版人 東生亀治郎, 発売人 東生銕五郎, 東京, 1876).

    3) 防衛廳防衛硏修所戰史室, 關東軍: 大ソ戰備, ノモンハン事件 1 (東京: 朝雲新聞社, 1969), p.66.

    4) 鈴木純子, 地圖資料槪說: 國立國會圖書館所藏資料を中心に (國立國會圖書館編集, 紀伊國屋書店發賣, 1996), p.51. 관동군측량대는 만주 전 지역에 걸쳐 10

    만분의 1 지형도를 제작하고,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5만분의 1, 20

    만분의 1 등의 지도를 완성하였다. 관동주에 대해서는 2만 5천분의 1 지형도,

    10만분 1 편집도 등도 제작하였다.

    5) 군사적인 비밀의 정도에 따라 군사 기밀, 군사 극비, 군사 비밀 등으로 등급을

    나누는데, 본고에서 다루는 지도는 군사 극비와 군사 비밀 자료가 주를 이룬

    다.

    6) 포괄적으로 병요지도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로는 오사카 대학이 소장한 병요지

    지도 목록을 작성한 것과 병요지지 제작한 참여한 사람에 대한 것 등이 있다.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295일본의 군사지도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일본에 산재해 있는 지도

    자료 목록 작성과 더불어 지도를 정리하면서 기초적인 연구가 진행되

    고 있는데, 전반적인 성과에 대해서는 오사카 대학에서 프로젝트로 진

    행해 왔던 결과를 발표한 뉴스레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7) 뉴스레터에

    발표된 글을 수정하여 저서로 재출판한 것과 일본의 비밀 지도와 관련

    된 포괄적인 연구8) 이외에 일본이 제작한 비밀지도의 전체상을 분석

    한 것이나 제작된 지도의 종류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그중에서도 일본 오차노미즈 대학에 소장된 만주 지도를 통해 일본

    이 제작한 지도의 전체상을 분석한 것과 만몽지역의 공중 측량 지도를

    통해 군사 비밀 지도를 분석한 것9)은 일본의 지도 제작사나 군사 비

    밀 지도의 구체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미국에 산재해 있는 일본의 군사 지도에 대해서는 현재 어느 기관

    에 어떠한 지도가 얼마나 소장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도 전체상이 파악

    되지 못하였다.10) 따라서 필자가 미 의회도서관에서 새롭게 발굴한 군

    兵要地誌図 (大阪大学文学研究科人文地理学教室所蔵)目録 (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1, 2003); 堤 研二, 兵要地誌と宗道臣(少林寺拳法開祖)の生涯(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2, 2004); 源 昌久, 兵要地誌類作成過程に関する一研究: 関東軍をとりあげて (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2, 2004);小林 茂, 渡辺理絵, 源 昌久, 古屋俊助氏寄贈兵要地誌類書所収の地図に関する目録 (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4, 2006).

    7) 일본에서 발간되는 외방도 뉴스레터에 지도 관련 프로젝트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http://www.let.osaka-u.ac.jp/geography/gaihouzu/

    8) 小林茂 編, 近代日本の地圖作製とアジア太平洋地域 (大阪大學出版會, 2009);牛越國昭, 対外軍用秘密地図のための潜入盗測 (同時代社, 2009); 小林茂, 外邦図―帝国日本のアジア地図― (中公新書 2119), 2011); Treiber, John Karl,Mapping Manchuria: The Japanese production of knowledge inManchuria-Manchukuo to 1945,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박사학위논문, 2004).

    9) 박선영, 일본의 군사 비밀 지도와 만주: 만몽지역 공중측량 지도를 중심으로

    (중국학보 64, 2011); 박선영, 일본 육군 참모본부 육지측량부가 그린 만주:오차노미즈 대학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미간 논문) 참조.

    10) 今里悟之, 久武哲也在, アメリカ外邦図の所蔵状況 -議会図書館・AGS GoldaMeir図書館・ハワイ大学ハミルトン図書館の調査から- (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1, 2003; 今里悟之, 長澤良太, 久武哲也, アメリカ議会図書館所蔵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296사 극비 지도에 대한 연구는 일본 지도 제작사의 전체상을 확인하는데

    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태평양전쟁 시기에 제작된

    만주와 소련의 국경 지대 군사극비 지도라는 점에서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특수 목적을 갖고 설립된 관동군측량대가 제작한 군사

    극비 지도 자료 중 지형에 관한 작전, 전투 수행상의 가치 및 각종 작

    전, 전투 행동에 관계있는 여러 사상(障害力, 宿營力 기타)에 대해 해

    설하거나 해설을 더한 지형도11)라는 병요지도 중에서 1:200,000 지도를

    중심으로 2가지 방면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관동군측량대의 유래와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

    한 다음, 관동군측량대가 제작한 군사 극비 지도가 결과적으로 미국

    의회도서관에 소장된 경위를 그곳에 소장된 G7830 s200. J31 지도를

    중심으로 추적해 보고자 한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패전 당시 비밀 서류에 대한 소각 명령을

    내렸고,12) 8월 19일 참모본부는 군사 극비와 각 지역의 병요지도는 소

    각13)하라는 명령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군사 비밀 지도가 소각되거

    の旧日本軍撮影・中国空中写真の概況 (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2,2004); 永井信夫, 小林政能, 米国国立公文書館で確認した日本軍撮影空中写真に

    ついて (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4, 2006); 今里悟之, 池中香絵, 岡本有希子, 小林 茂, アメリカ議会図書館蔵日本軍航空偵察写真について (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5, 2007); 藤森衣子, 三崎 護, 中村優希, 鈴江文子,後藤敦史, 小林 茂, アメリカ議会図書館、手描き旅順要塞砲台図および5千分

    の1地形図 -解説と目録- (外邦図研究ニューズレター No.8, 2011). 이 자료에 소개되어 있는 지도는 몇 개의 기관에 소장된 개략적인 내용만 조사한 것

    이고, 이 외에도 아직 미확인된 자료가 미국 여러 대학 등 여러 곳에 산재되어

    있다.

    11) 防衛廳防衛硏修所戰史室, 關東軍: 大ソ戰備, ノモンハン事件 1 (東京: 朝雲新聞社, 1969), pp.66-68.

    12) 參謀總長, 陸軍秘密書類燒却ニ關スル件(軍事機密) 1945년 8月 15日 (大本營

    陸軍部 參密第2號 626); 渡邊正氏所藏資料集編輯委員會 編, 終戰戰後の參謀本部と陸地測量部: 渡邊正氏所藏資料集 (大阪大學文學硏究科人文地理學敎室,2005), p.73.

    13) 總務課長, 情勢ノ轉變ニ伴フ作戰用地圖處理要領ノ件通牒(軍事機密) 1945년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297나 훼손되지 않고 이러한 지도가 미국 의회 도서관에 소장된 경위는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단순히 지도의 소장 경위 자체를 강조하

    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당시 시대적 배경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

    둘째, 구체적으로 관동군 측량대가 제작한 군사 극비(군사 비밀)

    1/200,000 병요지도를 중심으로 지도 제작의 규모와 지역 그리고 지도

    정보에 나타난 각종 내용을 통해 그 지도 제작의 의미를 확인해 보고

    자 한다. 만주병요지도에는 만주 시베리아 병요지도와 만주 몽고 병요

    지도(몽고병요지도) 그리고 만주 조선 병요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Ⅱ. 관동군 사령부의 군사 극비 지도와

    미 의회 도서관

    1. 관동군측량대의 유래와 역사적 의미

    관동군사령부는 1919년 4월 12일에 창립되었는데 그 전신이 바로 러

    일전쟁 후 1906년에 창설된 관동도독부육군부였다. 관동군의 평상시

    임무는 만주사변이 발발하기 이전에는 ‘관동주 및 남만주에서 육군 제

    부대를 통솔하고 관동주의 방비 및 만주에 있는 철도를 보호’14)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만주국이 건국된 후 관동군사령부는 “만주 주요 각

    지역의 방위 및 만주제국 신민의 보호를 임무로 한다”15)고 규정함으로

    써 그 임무가 확대 변화하였다. 즉 만주국은 외양적으로 독립국으로서

    의 모양새를 갖추는 듯하였지만 내용적으로 일본과는 불가분의 관계를

    8月 19日 (大本營陸軍部 參機第11號 第3); 渡邊正氏所藏資料集編輯委員會 編,

    終戰戰後の參謀本部と陸地測量部: 渡邊正氏所藏資料集 (大阪大學文學硏究科人文地理學敎室, 2005), pp.73-74.

    14)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關東軍(1) (朝雲新聞社, 1969), p.104.15)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앞의 책, pp.49-50.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298맺고 있었던 것이다. 만주제국의 신민을 보호할 만주국군이 있었음에

    도 불구하고 관동군사령부가 만주의 방위 및 제국 신민까지 보호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는 점에서 만주국의 ‘허상’과 일본제국주의의 의도를

    재확인 할 수 있다.

    1934년 3월 17일 참모본부 총무부장 橋本虎之助는 軍事機密 陸満機

    密受第30號의 ‘關東軍測量隊要員到着二關スル件通牒’를 육군성 副官 牛

    島滿에게 보냈다. 거기에는 관동군측량대 편성 및 파견 요령, 동 세칙

    등을 명시하였고, 관동군측량대 편성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명령하였

    다.

    1) 관동군측량대를 만주국에 파견한다

    2) 참모총장은 전항의 부대를 4월 하순 편성지(東京)로 출발케 한다.

    3) 전항 부대는 日滿국경 통과시에 관동군사령관의 예하로 들어간다.

    4) 전항에 관한 것은 참모총장의 지시에 따른다.16)

    이상의 명령에 따라 4월 11일에 관동군측량대의 편성을 완료하고 4

    월 22일 이후 순차적으로 출발하였다.

    이러한 관동군측량대는 이 시기에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일본

    의 육지측량부가 총괄했던 임시측도부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1894년 처음 편성된 임시측도부를 계승하여 1904년 편성된 제2차 임시

    측도부는 1913년에 해산되었으나 부원 중 16명을 발탁하여 지나주둔군

    사령부의 측량반으로 삼고 측도 업무를 하였는데, 1934년 9월의 조직

    개편으로 관동군측량대로 재편성된 것이다.17)

    關東軍勤務令 에 따라 육지측량부가 만주 지역에서 측량할 기본

    계획을 작성하고, 육지측량부장이 필요한 업무에 대해 직접 관동군 측

    16) 軍事機密 陸満機密受第三〇号 # #一五号第一 関東軍測量隊要員到着ニ関ス

    ル件通牒 昭和9年3月17日 参謀本部総務部長 橋本虎之助 陸軍省副官 牛島満殿

    関東軍測量隊編成及派遣要領、同細則ニ基キ関東軍測量隊要員トシテ陸軍大臣ノ

    特ニ配属スル将校、同相当官ハ4月2日午前十時陸地測量部ニ到著スル如ク取計ハ

    レ度依命通牒ス 追テ編成第一日ハ4月1日トシ4月11日之ヲ完結ス陸軍省 -陸満機

    密大日記-S9-2-29 (所蔵館: 防衛省防衛研究所), C01002689700.

    17) 測量地圖百年史編輯委員會, 앞의 책, p.474.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299량대에 지시18)를 내린 후 구체적인 업무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아도

    양자 사이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본의 육지측량부와 만주국

    건국 이후 만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관동군측량대는 불가분의 상하 관

    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관동군측량대는 기본적으로 육지측량부 산하기관으로 만주에 머물

    지만 만주국측량국과도 제휴하여 지도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만주국측량국과 관동군측량대 사이는 모종의 역할이 분담된 것으로 보

    인다. 만주국이 건국된 후 만주국측량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일본

    의 육지측량부 산하 관동군측량대가 만주에서 활동한 것은 만주국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일본 제국에 대한 군사적 필요에 의해 만주 등지

    의 지도를 제작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관동군측량대

    가 제작한 지도는 좀 더 군사적 전략 및 작전 목적에 충실하였을 것으

    로 볼 수 있다.

    관동군측량대의 측량 실시 계획에 따라 1936년에 만주국내 측량을

    실시하였는데, 일본의 참모본부장이 특별 군사 지역 측량에 대해서 각

    방위사령관은 각 방위 지역에서 관동군 측량대가 측량하는데 필요한

    엄호와 지원을 하라고 명령19)을 내린 것으로 보아도 그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1937년 중일전쟁으로 확대되자 関東軍参謀長代理 石原莞爾은 1938년

    18) 大本營陸軍參謀部總務部長 神田正種, 関東軍に於ける兵要地圖の調製並修正

    に関する細部の件 (陸軍省-陸満密大日記-S15-5-72, アジア歷史資料センタ),

    C01003573700.

    19) 極秘 陸満密受第六一八号 関後命第五五七号 関東軍命令 昭和11年4月12日午前

    十時 於新京軍司令部 一、関東軍測量隊長ハ別冊昭和11年度関東軍測量実施計画

    ニ基キ満洲国内ノ測量ヲ実施スヘシ特別軍事地域ノ測量実施ニ関シテハ参謀長ヲ

    シテ指示セシム 二、各防衛司令官ハ其担任防衛地区、内ニ於ケル前項測量隊ノ

    警戒及掩護ニ関シ所要ノ援助ヲ与フヘシ 細部ニ関シテハ測量隊長ヲシテ連絡セ

    シム 関東軍司令官 植田大将 下逹法 測量隊長、1D、9D、12D、11Bs、KK

    1Gs2Gs3Gs4Gsニ印刷交付通報先 5Gs、軍政部顧問部第二課、次長、次

    官 第36号 送達證 発送先 昭和17年5月7日 関後命第五五七号 一、 陸軍省-陸満

    密大日記-S11-6-38(所蔵館: 防衛省防衛研究所), C01003135100.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006월 15일 육군차관이었던 東條英機에게 관동군측량대에 공중사진측량

    반 증설을 요청하였다. 이들의 임무는 주로 국경 내외의 측량을 위해

    공중사진측량을 연구하고 훈련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 공중측량반 증설을 요청한 이유는20) 첫째, 당시 작전용

    지도에서 소련영내의 지도가 정비되지 않아 공중사진 측량으로 바로

    지도를 만들지 않으면 전투 수행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당시까지 관동군측량대는 만주국내에서 지상 측량 실시를 주로 하였기

    때문에 공중사진 측량 능력이 상당히 부족하므로 유사시 광대한 소련

    영내 공중사진 측량을 수행할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1939년 말에

    이르기까지 공중사진 측량의 필요가 있다고 여겨 인원 및 기자재 증가

    정비를 요청했던 것이다.

    둘째, 적군의 수중에 있는 지역에 대한 측량은 공중사진에 의한 것

    외에 다른 수단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만주국내 광대한 습지대 및

    밀림 지대 등의 측량을 위해서도 공중사진측량반 증설이 필요했기 때

    문이다.

    셋째, 공중사진 측량은 아직 연구하여 발달시켜 나갈 여지가 있는

    것이고 적군 세력내의 측량법은 비밀 제도 기계의 사용법과 더불어 여

    전히 충분한 연구와 훈련이 필요하므로 속히 인원을 증가하여 평시에

    교육 훈련, 기계 사용법을 숙련시켜 가장 적절한 측량 방식을 확립하

    여 작전 준비에 후회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관동군측량대에게 부족한 공중사진 측량 능력을 배가시켜 소련

    20) 関東軍参謀長代理 石原莞爾「関東軍測量隊編制改正に関する件」 陸満密受第

    七六二号 関参編第三二二号 関東軍測量隊編制改正ニ関スル件 昭和13年6月15日

    関東軍参謀長代理 石原莞爾 陸軍次官 東条英機殿 別紙要領ニ基キ関東軍測量隊

    ニ空中寫眞測量班ヲ増設スル如ク配慮相成度 別紙 関東軍測量隊編制改正ニ関ス

    ル意見 一、編制 将佼 中(少)佐 大(中)尉 測量師 測量手 技術雇員 計 内二名ハ

    大学理学部卒業程度ノ学力ヲ有スル ナルヲ要ス 内一〇名ハ理工科専門学校卒業

    程度ノ学力ヲ有スル ナルヲ要ス 一、昭和14年度編成ヲ完了ス 二、所要予算ハ

    新要求トシテ提出済ナリ 二、任務 主トシテ国境内外ノ測量ヲ實施シ併セテ空中

    寫眞測量ノ研究訓練ニ任セシム 三、理由 1.目下作戦用地図 陸軍省 -陸満密大

    日記-S14-12-66 (所蔵館: 防衛省防衛研究所), C01003494300.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01및 적군을 효율적으로 대적하기 위해서라도 이들의 활동이 확대될 필

    요가 있었던 것이다. 1943년 8월에는 관동군측량대에 야전측량부를 병

    합시키고 기구를 확장하여 관동군측량부로 개편시켰고, 육지측량부와

    마찬가지의 기구 편성이 되어 전 중국 각 측량부 인쇄반을 통괄하게

    되었다. 1944년 정도부터는 측량이나 지도 제작의 업무도 번망하여 만

    주 각지는 물론 멀리 중국 대륙이나 남방 각지의 전장으로 관동군측량

    부에서 이런 지역의 측량대로 편입되어 측량관으로 종군하기도 하였지

    만 1945년 8월 14일 패전으로 관동군측량부도 해체되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동군측량대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되

    돌아보면, 일본이 청일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편성했던 임시측도부가

    전쟁 후에 해체되었다가, 다시 러일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제2차 임시

    측도부가 편성되었는데, 2차 임시측도부 부원 중 16명을 발탁하여 편

    성한 지나주둔군사령부 측량반이 관동군측량대의 전신이다. 이들 관동

    군측량대는 중일전쟁에서 태평양전쟁으로 확대됨에 따라 중국 대륙이

    나 동남아 지역까지 종군하다가 일본의 패전으로 해체되었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볼 때 관동군측량대는 일본이 명치유신 이래 해외에서 일

    본 제국주의 세력 확대 및 해당 지역 통치와 전략 수립을 위해 사전에

    해외 지역에 파견했던 정예부대 측량대의 역사를 이어 받은 측량대라

    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관동군사령부의 극비 지도와 의회 도서관

    지도는 한 장에 특정 지역에 대한 수많은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전체상을 파악하기에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따라서 제국주의 국가는

    앞 다투어 정확한 지도 제작을 하려고 노력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

    의 지도를 탈취하여 신속하게 해당 지역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수많

    은 노력을 다하였다.

    일본도 이와 같은 지도 전쟁에 가담하여 러시아 및 중국이 제작한

    수많은 지도를 탈취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신속히 파악했지만 역으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02로 자신이 만든 지도는 빼앗기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일본 패전 시 중요 자료에 대한 소각 명령이 하달되었으나, 육지측

    량부에서 지도 제작에 관여했던 일부 인사는 일본이 제작한 지도 자료

    를 상대국에 점령되어 빼앗기거나 소각되어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도를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육지측량부를 내

    무부 안에 지리조사소라는 일반적인 기구로 변경시키는 수고도 마다

    하지 않았다. 미군이 일본을 점령하였을 때는 민간인의 창고뿐만 아니

    라 대학 도서관 등에 각종 지도를 옮겨 놓으면서 지도를 보존하기 위

    해 노력하여 현재 일본 내 일부 대학에 소장되게 되었다.21)

    그러나 유출되지 말아야 할 군사 극비 병요지도가 일본도 아닌 미

    의회도서관에 유입된 경로는 어떠한가? 유입 경로를 확인하는 것은 지

    도 자료의 내력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당시 시대상을 대변해 준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것이다.

    미 의회도서관에는 일본 육지측량부가 제작한 일반 지도뿐만 아니

    라 군사 기밀과 군사 극비 지도 등이 소장되어 있다. 이런 지도가 현

    재 미 의회 도서관에 소장된 경위를 자세하게 파악하기는 한계가 있지

    만 지도 뒷장에 남겨진 몇 가지 정보를 통해 그 경로를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이 일본의 군사 지도를 확보한 경로로는 일본의 점령 정

    책 기관이었던 GHQ(연합국군총사령부)를 통한 것이 주요하다고 할 수

    있다. GHQ의 맥아더 사령관은 “지도는 모든 것의 기본이다. 그것을

    확보하라”22)고 명령하여 조사와 접수 시찰단을 편성하여 지도 몰수에

    나섰다. 지도의 “재고뿐만 아니라 지도의 원판까지도 몰수”23)하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지도를 재인쇄할 수도 있었다. 이는 현재 지도 뒷

    면에 남아있는 정보를 통해서도 반증할 수 있다.

    21) 이와 관련하여 박선영, 일본 육군 참모본부 육지측량부가 그린 만주: 오차노

    미즈 대학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미간 논문) 참조.

    22) 菊地正浩, 앞의 책, p.46.

    23) 菊地正浩, 앞의 책, p.207.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03

    captured map으로 army map service library에 소장된 것임이 표시됨

    DMA topograpy center에 소장된 것임이 표시됨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군

    사 극비(군사 비밀) 지

    도 뒷면에는 ‘captured

    map’이라는 단어가 보인

    다. 이는 미국이 일본을

    점령하였을 때 빼앗은

    지도라는 것을 명시해

    둔 것이다. 이와 더불어

    ‘primary file copy’라는

    도장도 있는 것으로 보

    아 원본 파일 자체도 미

    군이 확보한 것으로 보

    인다. 지도 중에는

    ‘captured map files’이

    라는 정보를 명시해 둔

    경우도 있다.

    둘째, GHQ를 통해

    탈취한 지도 자료는 일

    단 미국 육군 군사 지도 도서관에 이관된 것으로 보인다. ‘army map

    service library’ 도장과 더불어 지도 목록 번호가 명시된 것으로 보아

    이는 육군 지도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지도

    중 부분적으로는 DMA(Defense Mapping Agency) topographic center

    가 소장했던 지도도 있다. DMA는 1972년 1월에 설립되어 미국의 군

    사용 지도를 제작한 기관이다.

    셋째, 본고에서 분석하는 병요지도가 실질적으로 의회도서관에 유입

    된 시기는 1995년에서 1997년 사이라고 볼 수 있다. 의 좌측

    하단의 도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지도에 따라 1995년 6월 13일,

    1996년 2월 23일, 1996년 3월 1일, 1996년 3월 6일, 1996년 3월 13일,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04

    지도 좌측 하단에 1996년 3월 6일에 의회도서관에

    소장된 것임이 표시됨

    1997년 4월 7일 등에 소장된 것으로 명시

    되어 있다.

    한국전쟁 당시는 일본이 제작한 극비지

    도가 미국에 의해 유용하게 재활용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동아시아 지도가 필요했던

    미군은 미국 각지의 대학 및 연구소 등에

    분산 소장되어 있는 지도를 빌려 작전에

    참고한 후 나중에 각 기관으로 되돌려 주

    기도 하였다. 미 의회도서관에 소장된 지

    도 중에서도 현지 작전에서 사용하기 위해

    지도 뒷면에 천을 대어 내구성이 있도록

    특수 처리된 지도가 보관되어 있기도 하

    다.

    군사극비 지도가 1990년대 중반에 의회

    도서관에 소장되게 된 요인은 소련의 해체, 중국의 변화 등 냉전체제

    에 갇혀 있던 세계정세가 전반적인 평화 무드를 조성해 가던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도 자료가 방대하여 일반 연

    구자가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정리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고 현재

    도 대항목의 목록만 정리된 채 세부적인 목록은 정리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아직까지 대항목으로 분류되지도 못한 채 소장된 지도도 상

    당량이 있는 실정으로 보아 관련 연구가 심화되기까지 일정 정도 시간

    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Ⅲ. 군사 극비 (군사 비밀) 병요지도

    1. 병요지도 지역으로 본 의미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05일본이 만주, 러시아(시베리아) 등지에 언제부터 관심을 갖고 병요

    지도를 제작하였을까?

    육지측량부에서 발행한 外邦兵要地圖整備誌를 보면, 병요지도에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한 이후 전투지역의 확대에 각종 병요지지

    도가 필요해지자 1939년 이래 참모본부의 조사로 각종 자료에 의해 시

    베리아, 만주, 몽고 및 중국 각 지역 등 각 방면에 걸친 10만분의 1 및

    50만분의 1도의 병요지지도를 정비하였다. 또한 1941년 이래 소위 ‘대

    동아공영권’ 하에 여러 지역에서 각종 척도의 병요지지도를 정비하기

    도 하였다.”24)

    그러나 1936년 10월 관동군참모장에게 제출하는 극비 병요지지자료

    와 지도 및 사진,25) 그리고 구체적으로 본고에서 다루는 지도만 보아

    도 1936년과 1938년에 제판한 것이 있다. 또한 1920년대 중반 관동군

    의 병요지지 조사 대상은 주로 대흥안령이나 그 동쪽 지역 및 동부 국

    경 방면26)에 관심을 두었다.

    특히 러일전쟁 후 일본이 남만주와 내몽고로 세력을 확대하여 그곳

    을 경영하기 위해 노력하면서부터 병요지도 제작이 점차 확대되어 나

    갔다고 할 수 있다. 러일전쟁 후의 새로운 정세를 기반으로 1906년 2

    월에는 ‘1906년도 대러 작전 계획’을 책정하였는데, 그 후 시대적 상황

    변화에 따라 새롭게 대소 작전 계획을 수행하였다. 1918년, 1923년 그

    리고 1936년에도 당시 정세를 고려하여 대러 작전 계획을 재수립하였

    다.27) 1918년은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의 정세 변화에 따른 것이고, 워

    싱턴 회의에서 해군 군비 축소와 동아시아 문제를 논의했던 영향으로

    인해 그 다음 해인 1923년에 대러 계획을 수정하였으며, 일본 내에서

    24) 陸地測量部, 外邦兵要地圖整備誌 (藤原彰編解說, 15年戰爭極秘資料集30集,不二出版, 1941年 12月; 東京, 1992年 復刻), p.284.

    25) 極秘, 滿洲西北部遜河附近兵要地誌資料 (關東軍參謀部, 1936년 10월),

    C01003202400.

    26)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앞의 책, p.68.

    27)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앞의 책, pp.49-50.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06정치적으로 비상시국이라는 목소리가 높아가면서 1936년에 국방 계획

    을 수정하였다.

    일본은 러시아, 북만주 이외에 외몽고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드러

    내었는데 신해혁명 후 러시아의 후원으로 외몽고가 독립하게 되자 러

    시아(소련)의 변화상과 정책에도 관심을 가졌다. 또한 신해혁명 직후부

    터 특히 만주와 몽고의 특수성을 의식하기 시작하면서 만주국을 탄생

    시켰고 일본이 이와 일체화된 국방상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

    다.28) 일본이 만주 및 시베리아 지역에 관심을 갖고 병요지도를 제작

    한 것도 이 지역이 군사적으로 중요한 석탄, 석유, 철 등의 매장량이

    있으며,29) 소련을 의식한 일본의 국방상의 안전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

    이다.

    따라서 만주, 시베리아 등지의 병요지지에 대한 조사 및 지도 제작

    은 청일전쟁 러일전쟁 이후 지속적으로 해 오던 것으로 확인됨으로30)

    위에서 언급한 外邦兵要地圖整備誌 자료의 내용은 중일전쟁 이후 병요지도 제작이 확대되었다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 다루는 병요지도의 대다수가 1942년에 제판되었고 이 시

    기의 자료들이 극비로 분류된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제작된 지도는

    특별히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이래 특수 목적을 위해 대다수의 지도가

    편찬 제작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병요지리조사요령’에 의하면 병요 지리 조사는 도로, 지형, 宿營力,

    給養力, 운반 재료, 수운 조사, 철도, 기상, 위생, 雜件 등 필요한 사항

    을 간단명료하게 摘記하는데 가능한 한 구제적으로 그 出所를 명확히

    28)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앞의 책, p.18.

    29) 防衛廳防衛硏修所 戰史室, 앞의 책, pp.74-75.

    30) 陸地測量部, 外邦兵要地圖整備誌解說 (外邦兵要地圖整備誌, 藤原彰編解說, 15年戰爭極秘資料集30集, 不二出版, 1941年 12月; 東京, 1992年 復刻), p.4.

    일본 육군이 병요지도를 제작한 것은 프랑스 군사고문단의 일원으로 1872년에

    서 1878년까지 일본에 체재했던 공병대위 찰스 죠르단(Charles Jaurdan)의 지

    도하에 프랑스식 표현을 사용한 20만분의 1 군관도 병요지도를 제작하면서부

    터이다.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07하라고 명시하였다.31)

    병요지지도는 어느 지역에 대한 지지도이냐에 따라 지도 안에 담고

    있는 내용이 차이가 있다. 遜河 부근을 조사했던 병요지지의 경우, 孫

    吳에서 遜河 부근을 지나는 도로에 이르기까지 각 작전로 여름의 도로

    상태, 보수 대책 및 연도 습지에 관해 조사하기 위해 병요지지 자료와

    지도를 제작하였다. 이 지역에 대해서는 특히 습지 작전에 미치는 영

    향과 대책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진행되었다. 細流를 따라 잡초가

    우거진데다 강우량이 많을 때 병사나 차량 등의 운행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므로 우회로의 이용이나 습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자재 등을 정

    비하여 작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취지였다.32)

    습지에 대한 조사는 단지 습지와 작전상의 영향 관계를 조사할 뿐

    만 아니라 습지와 위생 관계도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습지에 서식하는

    곤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습지의 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각종 피

    부염), 습지와 이화학 및 세균학적 시험, 습지에 있는 해충류와 독초류

    조사 등이 이루어졌다.33)

    또한 각종 삼림이 작전에서 미치는 가치와 이용하는 방법, 경지나

    경작물, 경지를 비행장으로 이용하는 가치, 숙영이나 급양지에 대해 충

    분히 고려하고 조사하여 연료를 구하기 쉬운지 여부, 동계 노영시 천

    막 사용이나 방풍 및 급수 등의 용이를 고려34)하였다.

    일본이 미군에 대한 작전을 하기 위해 남양제도에 대한 지도를 그

    릴 때는 그 안에 담고 있는 내용도 달라져 海象, 조류, 통신, 위생, 암

    초, 海蝕崖, 산호초, 還礁, 음용수, 沙洲, 상륙 가능지, 비행기 이착륙지,

    통과 곤란한 열대활엽수림 및 밀림중의 각종 식물상황 등에 대해 기재

    31) 陸地測量部, 앞의 책, p.120.

    32) 極秘, 滿洲西北部遜河附近兵要地誌資料 (關東軍參謀部, 1936년 10월),

    C01003202400.

    33) 極秘, 滿洲西北部遜河附近兵要地誌資料 (關東軍參謀部, 1936년 10월),

    C01003202400.

    34) 極秘, 滿洲西北部遜河附近兵要地誌資料 (關東軍參謀部, 1936년 10월),

    C01003202400.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08

    호도폭명 도폭기호

    측량기관

    제판 시기인쇄기

    관비밀등급

    부호 측량 정보

    1 虎林만주병요20만분1도 10カ21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

    イ. 1934년측량1937년 국부수정측량

    ロ. 1934년및 1937년 측량

    ハ. 1937년측량

    2 虎林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33度57號

    관동군측량대

    1936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B 없음

    3 寶淸만주병요20만분1도 10カ21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A 1935년수정측량

    4七星河鎭

    만주병요20만분1도10カ216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Cイ. 1935년 측량

    ロ. 1936년 측량(공중사진측량)

    5 永豊鎭만주병요20만분1도 10カ22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D

    イ. 1906년 측량한 러시아 지도에 따라1935년 수정측량

    ロ. 1936년측량하고 1941년 철도보입(圖佳線)

    6 永豊鎭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31度56號

    관동군측량대

    1938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7 勃利만주병요20만분1도 10カ22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

    イ. 1934년측량, 1941년철도보입(圖佳線)

    ロ. 1938년측량

    ハ. 1935년측량

    8 穆棱만주병요20만분1도 10カ22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イ. 1933년측량, 1941년국부수정측량

    ロ. 1938년측량

    9 綏芬河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31度59號

    관동군측량대

    1936년제판, 같은해 국부(小通溝-磊子溝國道補入)수정.1938년국부(國道補入)수정개판

    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E 없음

    10 羅子溝 만주병요20만분 관동군 1942년 관동군 군 사 A-1 イ. 1941년수정측량

    미 의회도서관 소장 1:200,000 병요지도 개요

    하였다.

    따라서 병요지도는 군사 작전에 필요한 중요한 것을 총체적으로 고

    려하고 자료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병요지지도를 만들기 위한 자료

    조사 등은 종합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였다.

    본고에서 검토하는 지도의 구체상을 보기 위해 먼저 지도의 개요를

    정리해 보면 표 1과 같다.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09

    1도 10カ225 측량대 사령부 극비ロ. 1940년수정측량

    ハ. 1938년수정측량

    11 高安村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31度60號

    관동군측량대관동군측량대

    1936년제판. 같은해 국부(老揚家-五道岔國道補入)수정. 1938년국부(國道補入)수정개판

    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E 없음

    12ウャ -ゼムスカヤ

    만주及시베리병요20만분1도 10ヨ20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A-1

    イ. 1905년 소련지도

    ロ. 1939년 측량

    ハ. 1940년측량

    ニ,1942년50만분1도에 의해 伸圖增補

    13バブスト-ワ

    만주及시베리병요20만분1도 10ヨ213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A-1イ. 1894년에서1896년러시아지도

    ロ. 1939년 1940년 수정측량

    14 同江만주及시베리병요20만분1도 10ヨ21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C

    イ. 구러시아지도

    ロ. 1934년측량

    ハ. 1939년측량

    ニ. 1940년수정측량구역을 표시. 1941년

    흑룡강 및 송화강 연안요부수정

    15 富錦만주병요20만분1도 10ヨ21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B

    イ. 1935년수정측량

    ロ. 1939년측량

    ハ. 1941년수정측량

    16 綏濱만주병요20만분1도 10ヨ220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A-2

    イ. 1934년수정측량

    ロ. 1935년수정측량

    ハ. 1942년부분수정측량

    17 佳木斯만주병요20만분1도 10ヨ22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A-2イ. 1937년수정측량

    ロ. 1941년수정측량

    18 依蘭만주병요20만분1도 11カ20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イ. 1932년수정측량. 1941년철도보입(綏佳線)

    ロ. 구편찬도

    19 依蘭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30度56號

    관동군측량대

    1938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20大羅勒密

    만주병요20만분1도 11カ20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21大羅勒密

    만주병요20만분1도 11カ20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없음

    イ. 1906년러시아지도를 1930년 1932년修正略測圖

    ロ. 각종자료에 근거하여 편찬한 구역

    22 古城鎭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30度57號

    관동군측량대

    1938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23 橫道河 만주병요20만분 관동군 1942년 관동군 군 사 C イ. 1933년공중사진측량. 1936년수정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10

    子 1도 11カ203 측량대 사령부 비밀

    측량

    ロ. 1933년공중사진측량. 1940년수정측량

    ハ. 구편찬도

    二. 구러시아지도의 개묘를 근거로1940년과 1941년 수정측량

    24 下城子만주시베리병요20만분1도 130度58號

    관동군측량대

    1936년재펀, 1938년국부(철도)수정

    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25 大興溝만주병요20만분1도 11カ20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イ. 구편찬도

    ロ. 1941년수정측량구역

    26 牡丹江만주병요20만분1도 11カ20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A

    イ. 1940년측량, 1942년 지명, 도로증보

    ロ. 1941년측량

    27 察哈彦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26度47號

    관동군측량대

    1939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28 興隆溝만주병요20만분1도 11タ203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 1937년측량

    29十五里河子

    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26度49號

    관동군측량대

    1936년제판, 1938년좌상부증보개판

    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B 없음

    30 七站만주병요20만분1도 11タ22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Bイ. 1935년측량

    ロ. 1937년측량

    31 五道溝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26度50號

    관동군측량대

    1936년제판. 같은해 국부( 국 도 보입)수정

    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32 十站만주병요20만분1도 11タ22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없음イ. 1935년측량

    ロ. 1937년측량

    33 漢達汽만주병요20만분1도 11タ220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イ. 1934년측량

    ロ. 1942년수정측량

    34 延吉만주及조선병요20만분1도 11ワ20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E-1

    イ. 1937년측량만주5만분1도 축도

    ロ. 1919년측량. 1938년(京圖線-朝開線)

    1940년(龍靑線)철도보입

    ハ. 년측량10만분1도에 근거하여 주요 地物을 편찬한 위에

    철도(北鮮線)보입

    35湯旺河源

    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03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F 1941년略측량(공중사진)

    36 叉八氣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0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없음 1939년측량

    37 湯原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0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G

    イ. 1937년수정측량

    ロ. 1906년측량한 러시아 지도

    イロ는 모두 1941년철도보입(綬佳線)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11

    38張格達屯

    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07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Fイ. 1934년 및 1937년측량

    ロ. 1941년 공중사진 略측량

    39庫爾濱河

    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29度52號

    관동군측량대

    1936년 제판, 1938년우상증보수정개판

    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B 없음

    40 辰淸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1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

    イ. 1934년 측량, 1937년 국부수정측량

    ロ. 1941년 略측량

    41 塔溪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16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없음

    イ. 1934년 측량, 1941년 철도보입(寧黑線)

    ロ. 1937년 측량

    42 龍門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17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없음イ. 1934년, 1935년 측량

    ロ. 1937년 측량

    43 柏根里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2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イ. 1935년 측량

    ロ. 1935년과 1937년 측량, 1941년 수정측량

    44 嫩江만주병요20만분1도 11ヨ22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A-3

    イ. 1935년 측량

    ロ. 1937년 측량

    ハ. 1940년 및 1941년 수정 측량

    45 王爺廟만주병요20만분1도 12カ21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H 1933년 측량

    46 白城子만주병요20만분1도 12カ212

    만주제4 3 9 부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표시없음

    A-2

    イ. 구편찬도 사용(접합불량)

    ロ. 1933년 측량

    ハ. 1941년 병요조사도에 의해 요부수정하여 구역 표시.

    1942년 도로요부수정

    47 醴泉만주병요20만분1도 12カ217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1941년 측량

    48 索倫만주병요20만분1도 12カ216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E-2イ. 1933년 측량

    ロ. 1941년 측량

    49烏布林加拉嘎

    만주병요20만분1도 12カ22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F-1イ. 1933년 측량

    ロ. 1941년 측량

    50吐列毛杜

    만주병요20만분1도 12カ22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1941년 측량

    51 古納

    만주及시베리병요20만분1도(20만 분 1 지 지 도 )12タ223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

    イ. 이 지역은 1916년 1920년 측량하여 곡선등거리

    50미로 한 것이다.(*民國5-9년이라는표현을 쓴 것으로

    보아 중국제 지도를 활용한 것으로보인다)

    ロ. 1940년 측량

    ハ. 1911년 러시아 지도를 개묘한 것이다.

    52 杜博維만주병요20만분1도 12タ22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F 1940년 측량

    53 奈勒穆 만주병요20만분 관동군 1942년 관동군 군 사 B 없음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12

    圖 1도 12タ225 측량대 사령부 비밀

    54奈勒穆圖

    만주20만분1도( 2 0 만 분 1 지 지도) 12タ22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 1939년 측도(관동군측량부)

    55 扎賚特만주병요20만분1도 12ヨ21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イ. 1933년 수정측량

    ロ. 1934년 수정 측량

    56 九名屯만주병요20만분1도 12ヨ220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없음

    イ. 1906년 측량한 러시아 지도. 1934년 수정측량

    ロ. 1933년 측량한 축도(육지측량부)

    57扎賚特王府

    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22度55號

    관동군측량대

    1939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58 テ二ホ만주병요20만분1도 12ヨ22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イ. 1939년 측량

    ロ. 1938년 측량

    59 牙克石만주병요20만분1도(20만분1지지도) 12ヨ22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 1938년 측량

    60 牙克石만주병요20만분1도 12ヨ22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 1938년 측량

    61オヌアルシャン

    만주병요20만분1도(20만분1지지도) 12ヨ223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 +A-4

    イ. 1906년 측량, 러시아 지도에 따라1934년 수정측량

    ロ. 1934년, 1938년 측량, 1941년 전면적으로 지명 증보

    62オヌアルシャン

    만주병요20만분1도 12ヨ223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A-4

    イ. 1906년 측량, 러시아 지도. 1934년 수정측량

    ロ. 1934년, 1938년 측량, 1941년 전면적으로 지명 증보

    63タフビン湖

    만주병요20만분1도(20만분1지지도) 12ヨ22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イ. 1906년 측량한 러시아 지도. 1934년 수정측량

    ロ. 1934년 측량

    64タフビン湖

    만주병요20만분1도 12ヨ22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

    イ. 1906년 측량한 러시아 지도. 1934년 수정측량

    ロ. 1934년 측량

    65 五叉溝만주병요20만분1도 12ヨ22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없음

    イ. 1934년 수정측량

    ロ. 1933년 측량한 축도

    ハ. 1934년 측량

    66 金銀溝만주及시베리병요 2 0 만 분 1 도121度55號

    관동군측량대

    1936년관동군사령부

    군 사비밀

    B 없음

    67 三國山만주及몽고병요20만분1도 13カ201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Eイ. 1941년 측량

    ロ. 1942년 50만분1도에 의해 伸圖증보

    68ホ ツショス-ム  

    만주及몽고병요20만분1도 13カ20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E-2 1941년 측량

    69ノ -ナイス -ム 

    몽고병요20만분1도 13カ207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F 1941년 측량

    70 ラグノ 몽고병요20만분 관동군 1942년 관동군 군 사 F イ. 1933년 소련지도의 개묘도(육지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13

    -ル 1도 13カ216 측량대 사령부 극비

    측량부)

    ロ. 1912년 및 1915년 약측도

    ハ. 1942년 10만분1도에 의해 伸圖증보

    71ラマクレス -ム

    몽고병요20만분1도 13カ217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G-1

    イ. 1912년 약측량 ロ. 1915년 약측량

    ハ. 1941년 측량

    二. 1942년 50만분1도에 의해 伸圖증보

    72 黑山頭

    만주及시베리병요20만분1도(20만 분 1 지 지 도 )13タ20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イ. 1906년 측량한 러시아지도

    ロ. 1939년 측량

    73 海拉爾만주병요20만분1도(20만분1지지도) 13ヨ202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

    イ. 1938년 측량, 1941년 지명 증보ロ. 1939년

    측량 구역 표시

    74アゴイ廟

    만주병요20만분1도(20만분1지지도) 13ヨ203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

    イ. 1940년 측량

    ロ. 1939년 측량

    ハ. 1934년 측량

    75 貝爾湖

    만주及몽고병요20만분1도(20만분1지지도) 13ヨ21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I+G-2

    1906년 및 1933년 소련지도의 개묘도(육지측량부).

    곡선등거리 50미

    76 貝爾湖만주及몽고병요20만분1도 13ヨ214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G-21906년 및 1933년 소련지도의 개묘도(육지측량부)

    77タ ムツァクブラク

    몽고병요20만분1도 13ヨ215

    관동군측량대

    1942년관동군사령부

    군 사극비

    F

    イ. 구소련지도20만분1도를 개묘(육지측량부)

    ロ. 同 20만분1도 개묘도

    ハ. 1942년 사진수정측량

    에서 정리한 바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위의 지도는 전반적으로 관동군사령부가

    주관하는 관동군측량대에 의해 측량되고 제판된 것으로 만주 및 시베

    리아, 몽고, 조선을 포함한 병요지도이다. 병요지도는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군사 전략상 중요한 지역의 지도라는 점에서 일본

    의 군사적 전략과 전선 확대에 유용하게 쓰기 위해 준비한 20만분의 1

    지도이다. 이상의 병요지도 77매 중 41매가 군사극비이고 35매가 군사

    비밀이며 1매가 특정 등급 표시가 없다.

    둘째, 이상의 지도 중 50매가 만주병요지도이고35)(6매가 지지도) 만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14주 및 시베리아 병요지도는 18매(그 중 2매 지지도 포함), 만주 및 몽

    고 병요지도가 4매(그중 1매 지지도 포함), 몽고병요지도가 4매, 만주

    및 조선병요가 1매이다.

    그중 ‘만주병요20만분1’은 지도의 일련번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942년 제판되고 인쇄된 시리즈 지도이다. 그 외에 1936년

    에 제판된 것이 3매, 1938년에 제판된 것이 8매(그중 綏芬河, 高安村,

    下城子, 十五里河子, 庫爾濱河는 1938년에 개판), 1939년이 2매, 나머지

    가 1942년에 제판 인쇄되었다. 서로 다른 년도에 제판되고 지역도 차

    이가 있지만 병요지도가 함께 보관된 이유는 일본이 작전 수행에 필요

    한 병요지도를 종합해 두었거나 미국이 비슷한 성격의 지도를 모아서

    분류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일본이 만주나 몽고, 시베리아 등지에 관심을 갖는 것은 대소 정책

    에서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차지하기도 하지만 이 지역에 매장된 천연

    자원에 대한 관심이 크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에서 일본이 특히 관심

    을 가진 것은 삼림과 광산 자원이었다. 금, 은, 철, 아연, 석유, 석탄,

    흑연, 대리석, 錫, 石金36) 등 각종 천연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상업적

    투자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일본의 군사적 목적을

    확대하는데도 매우 필요한 것이었다.

    몽고 지역에 대해서 일본은 1916년 多倫 동쪽 지역을 盜測한 이래,

    1929년-1930년에는 일본 참모본부와 관동군이 4차례 특별 작전을 통해

    1:200,000의 항공측량지도를 완성 하였다. 만주국 건국 후에는 몽고 여

    러 지역을 측량하였다. 1937년 일본이 綏遠을 침략한 후에는 관동군측

    량대가 包頭 등지를 측량하였고, 1944년에는 呼倫貝爾盟, 興安盟과 哲

    里木盟 등 지역의 10만분 1지형도를 제작하여37) 몽고 지역의 정보를

    35) 그중 奈勒穆圖 1개는 만주병요20만분1도라 표시하지 않고 병요라는 글자가

    없는 만주20만분1도라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도의 내용과 형식은 만주병요

    도와 유사하고 미 의회도서관에서도 같은 종류의 지도로 분류해 두어서 본고

    에서는 이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36) 野守廣, 實地視察寶庫西伯利, 實業之日本社, 東京, 1918年 4版, 65-82쪽. 97쪽에는 만주지역의 광물과 삼림의 풍부함을 언급하였다.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15

    오른쪽 사각형 안에 표시된 지역이 일본이 제작한 시베리아, 만주, 몽고의 병요지도인데 미군이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지도 위에 표시한 것이다. 주로 몽고 동부, 만주국과 시베리아 국경지대를 표기한 것이다.

    만주지역 병요지도 위치를 확인해 본 결과 주로 만주국과 소련과의 변경지대를 제작한 지도이다. 지도 위의

    ◎ 표시가 병요지도로 제작된 곳이다.

    확보하였다.

    본고에서는 병요

    지도라는 차원에서

    시베리아, 몽고, 조

    선 지도까지 포함시

    켰지만 위치를 비정

    할 수 있는 것을 중

    심으로 필자가 지도

    로 제작된 지역을

    다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는 미군이 일본의

    병요지도를 위치

    지워 표시한 것인

    데, 동부 몽고, 만

    주, 시베리아 등지

    를 포괄적으로 표

    시하였지만 본고에

    서 다루지 않은 지

    역도 포함되어 있

    다. 에서는

    필자가 본고에서

    분석한 지역의 개

    략상을 지도위에

    새롭게 작성하였는

    데, 대체로 만주국

    과 소련 변경지대

    37) 內蒙古自治區志測繪志編纂委員會編, 內蒙古自治區志測繪志, 內蒙古人民出版社, 1997, 3쪽, 65쪽.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16

    虎林의 사례는 서로 다른

    시기에 측량된 지도를 활용하여 편찬하였음을

    명기해 둔 것이다.

    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이상의 의 지도정보에서 보는 바

    와 같이 ‘イロハ’ 등의 표시는 지도내의 측량 시

    기 정보를 보여주는 것으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도 내에 구분된 구역에 일본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그 표기를 그대

    로 사용하였다.

    의 지도 1번 虎林의 측량정보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イ. 1934년 측량 1937년 국부수정

    측량; ロ. 1934년 및 1937년 측량; ハ. 1937년 측

    량”이라 명시되어 있다. 지도는 1934년과 1937년

    에 측량된 것이지만 전체적으로 1942년에 제판

    인쇄된 지도여서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시기에

    측량된 것을 종합하여 편찬한 지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중에는 소련 및 중국 지도를 활

    용한 것과 관동군측량대가 직접 측량한 부분을 종합하여 만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도 1894년의 러시아 지도를 활용한 것과

    1900년 초기에서부터 1930년대를 거쳐서 국부 수정 측량한 것 등이 종

    합되어 대체로 1942년에 제판 인쇄된 것이다. 의 同江 사례에

    서 한 장의 지도에 여러 성격의 정보가 참조되었음을 지도 위에 구획

    하여 표시해 두어 그 구체상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 1의 ‘측

    량정보’에 기입된 각종 정보는 지도 제작 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

    움이 된다.

    2. 병요지도 부호로 본 의미

    부호는 가장 압축적으로 표현된 종합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정된 공간에 특정 부호를 통해 군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을 효과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17

    앞의 표 1의 9번 同江 지도를 편찬하였을 때 활용한 각종 지도를 기호로 표시한 것인데,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새롭게 제작한 것이다. 지도 내의 기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イ. 구러시아지도; ロ. 1934년측량; ハ. 1939년측량; ニ. 1940년수정측량구역을 표시. 1941년; 흑룡강 및 송화강

    연안요부수정

    적으로 설명해

    내기 위해서는

    부호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

    하는 것도 관건

    이 될 수 있다.

    병 요지도라 고

    해서 도식을 일

    정하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지

    역에 따라 상황

    에 따라 어떠한

    것을 중심으로

    병요지도를 제작

    하였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도식

    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태평양 도서 특성을 고려하여 병요지도 도식을

    준비한 경우 산호, 암초 등 이 지역에 맞는 특수사항을 준비하기도 하

    였다. 큰 항목으로는 도로, 지형, 습지, 급수, 삼림, 비행장, 해안, 주민

    지, 기타 동굴, 광산, 절벽, 지진 등을 표시하기도 하였다.38)

    본고에서 분석하는 관동군사령부의 만주병요지도에서 보이는 지도

    의 부호를 종류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하나의 부호라도

    차이가 있는 경우 각기 타입을 구분해 보았다. 먼저 A와 B타입의 부

    호를 정리하면 와 같다.

    38) 秘, 兵要地誌圖圖式 (備第7920部隊 參謀部調製, 國立公文書館 3A-14-18

    -12), A03032051200.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18

    A A-1 A-2 A-3 A-4 B

    省公署 省公署 省公署 省公署 省公署 省公署

    旗縣公署 旗縣公署 旗縣公署 旗縣公署 旗縣公署 旗縣公署

    市特別市公署 市特別市公署 市特別市公署 市特別市公署 市特別市公署 市特別市公署

    街村公署 街村公署 街村公署 街村公署 街村公署 街村公署

    祠廟 祠廟 祠廟 祠廟 祠廟 祠廟

    蒙古오보 界標 蒙古오보 蒙古오보 蒙古오보 蒙古오보

    界標 立標 界標 高塔 湧泉 界標

    立標 高塔 立標 立標 몽고이동부락 立標

    高塔 湧泉 高塔 湧泉 高塔

    湧泉 湧泉

    몽고이동부락

    A와 B유형 부호

    C D E E-1 E-2

    街村公署 街村公署 旗縣公署 旗縣公署 旗縣公署

    祠廟 祠廟 市特別市公署 市特別市公署 街村公署

    蒙古오보 立標 街村公署 街村公署 祠廟

    界標 高塔 祠廟 祠廟 蒙古오보

    立標 湧泉 蒙古오보 蒙古오보 界標

    高塔 界標 高塔 湧泉

    湧泉 立標 立標 몽고이동부락

    몽고이동부락 高塔 高塔

    湧泉

    몽고이동부락

    C, D, E 유형 부호

    의 A와 B 유형의 부호는 상당히 유사하다. A를 기준삼아 각

    기 다른 부호를 비교하면, A-1은 A에서 몽고오보만 없는 것이고, A-2

    는 용천이 없다. A-3는 계표가 없고, A-4는 계표, 입표, 고탑이 없는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B는 A에다 몽고이동부락이 추가된 상태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상황에 따라 일부의 기호의 유무가 여러 가지 형태의

    부호를 만들었다.

    의 경우 D 유형 부호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몽고오보 표시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19

    F F-1 G G-1 G-2 H I

    祠廟 祠廟 旗縣公署 立標 界標 省公署 도로

    蒙古오보 蒙古오보 祠廟 蒙古오보 立標 祠廟 철도

    界標 立標 高塔 湧泉 蒙古오보 蒙古오보 하천

    立標 高塔 湧泉 몽고이동부락 湧泉 습지

    高塔 湧泉 몽고이동부락 祠廟 몽고이동부락 삼림

    湧泉 몽고이동부락 주민지

    몽고이동부락 급수

    비행장

    기타

    F, G, H, I 유형 부호

    가 있으며, C와 E류 부호의 경우 몽고 이동 부락도 표시되어 있다. 몽

    고 오보는 광활한 지역에 고정된 목표물이 될 수 있고, 몽고 이동 부

    락은 몽고지역의 병력 이동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

    이 숙영지를 결정하는데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으로 이 지역에서 가장 상징되는 몇 가지

    목표물을 부호화하여 그 지역의 특성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의 병요지도 개요에 의하면 같은 지명의 지도가 있으나 부호

    형식 등이 다른 경우가 있다. D부호에 해당하는 의 5번 永豊鎭

    의 경우는 만주병요지도인데 의 6번 지도인 永豊鎭의 지도와 비

    교해 보자. 1938년에 제판된 6번의 永豊鎭 지도에서는 철도가 보이지

    않지만 5번의 永豊鎭 지도에는 1941년에 철도를 더 추가하여 1942년에

    제판한 지도로 관동군측량대가 측량한 永豊鎭이라는 지도는 같지만 부

    호 형식이 더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부호 I의 경우를 제외하고 F, G, H유형 부호는 몽고 오보 및 몽고이

    동부락 등에 관심을 두었다. I의 경우는 20만분의 1 지지도에만 병기

    된 부호라는 특징이 있다.

    표 2, 3, 4의 내용을 종합하면, A류의 부호는 11매(그중 표 1의 61번

    인 オヌアルシャン의 경우는 I부호와 병렬), B류는 21매, C류는 3매, D

    류는 1매, E류는 6매, F류는 7매, G류는 4매(그중 표 1의 75번 貝爾湖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20

    지도 중간 하단쪽에 ? 부호가 선명하게 보인다

    牙克石병요지지도 내에 기록된 내용

    의 경우는 I부호와

    병렬), H류는 1매, I

    류는 7매, 부호가 없

    는 경우가 16매로 총

    77매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지도 중에는 완성된

    형태의 지도라고 보

    기는 어려운 경우도

    있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도

    내에 ? 의문부호를

    표시해 둔 곳도 있고

    와 같이 지도 내에 주의할

    내용을 적시한 경우도 있어서 지도

    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검토용으로

    사용한 지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병요지지에 대한 조사가 부족

    한 상황을 명기해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藤原 彰은 일본군이 태평양전

    쟁 중에 병요지지에 관한 조사가 부

    족하여 부대들이 보급이 단절된 상

    황에서 현지에서 생존해야 했기 때

    문에 실패하였다39)고 언급하였는데,

    정확한 지리 정보의 부족은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

    에 없고 실질적으로 전쟁을 치루어

    39) 藤原 彰, 餓死した英靈たち, 東京, 靑木書店, 2001.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21

    牙克石 만주병요20만분1지지도

    야 하는 병사

    들은 치명적

    인 패배도 감

    수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지지도라고

    명시한 지도

    와 병요지도

    와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

    해 牙克石의

    만주병요20만

    분1지지도와

    만주병요20만

    분1지도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과 의 두 지

    도는 모두 관동군 측량대가 측량하였고 1938년에 측량한 지도를 바탕

    으로 1942년에 제판한 牙克石 군사극비 지도이다. 의 牙克石

    지지도의 경우 오른쪽 지도 하단에 부호가 병기 되어 있지만 의 牙克石지도의 경우 부호가 생략되어 있다. 牙克石지지도를 자세

    히 보면 지도 안에 다양한 내용을 기록하여 두었는데, 牙克

    石 지역의 확대된 지도를 통해 볼 수 있듯이 “牙克石-北羅木特-海拉

    爾 河谷에 冬季 적설이 있음으로 지역 내의 행동 자재”라고 명시해 두

    었다. 이와 같이 지도 곳곳에 군사상 필요한 정보를 서로 다른 색깔로

    구분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직접 기입해 둠으로써 눈에 띄게 구분해 두

    었다.

    牙克石만주병요지지도 내에 도로 부분에는 자동차도와 야포도, 경중

    차도, 지름길, 冬季道 및 교량이 구분되어 있고 해빙기와 결빙기의 자

    동차 통과 여부도 표시해 두었다. 철도는 기관고와 급탄소 및 급수소

    를 구분해 두었고 하천은 可航船의 크기, 하폭, 渡船場 및 渡涉場을 표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22

    牙克石 만주병요20만분1도

    기하였다. 습

    지도 습지의

    정도에 따라

    4개로 구분하

    였고, 삼림의

    밀도 정도와

    병사 통과 여

    부 등을 포괄

    하였고, 해당

    지역의 주민

    이 어느정도

    거주하는지에

    대해서도 구

    체적으로 표

    시해 두었다.

    심지어 주민의 급수법이 강이나 우물 등 어디에 의존하는지 여부에 대

    해서도 표시하였다. 따라서 급수의 수질 여부도 확인하였고, 비행장 후

    보지 및 포장되어 있는 넓이를 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망이 양호한

    지점이나 목표도 표기해 두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본다면, 병요지도에 병기된 부호는 몇 가지

    상징적인 부호를 중점으로 지도를 제작하였는데, 이는 군사 작전시 필

    요한 지형 및 지질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다. 병요지지도 내에 표기된

    각종 정보는 해당 지역의 구체상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해당지역에서

    군사작전시 필요한 정보를 다각도로 조사한 것이며, 해당지역 주민 거

    주 상황과 급수법 등에 관심을 갖는 것은 군대가 주둔하였을 때 주둔

    조건이 적당한지 여부를 파악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병요지지도에서 몽고오보에 관심을 가진 것은 광활한 대지에 특징

    적인 목표물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몽고오보와 같은 고정된 상징물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고,40) 몽고이동부락을 확인하는 것은 몽고인의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23이동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일본 군대의 숙영지 등을 결정하는 데도

    중요한 정보를 주기 때문이다.

    Ⅳ. 결 론

    병요지도는 작전 필요에 따라 특정 지역의 자연지리 조건과 사회적

    요소 및 작전 행동에 대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평가한 군사자

    료이다. 이는 지형, 기상, 경제 조건, 사회 상황 등의 자료를 제공하고

    특히 전쟁 준비, 군사 훈련, 모의 작전 계획을 제공하는데도 사용한다.

    따라서 병요지지도는 이러한 작전에 필요한 정보 자료를 규정된 부호

    나 간단한 문자로 지도상에 표기한 특수 군용지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병요지도를 일본은 1872년부터 프랑스의 도움으로 제작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만주와 시베리아 등지의 병요지도 제작은 청일전

    쟁 러일전쟁 전후로 확대되었고,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전투 지

    역 확대와 소위 ‘대동아공영권’이 주창되면서 각종 척도의 병요지도를

    제작하게 되었다.

    일본이 제작한 병요지도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본고에서는 특히

    1934년에 설립된 관동군측량대가 1942년에 제판한 만주 지역 등지의

    군사극비(군사비밀) 20만분의 1 병요지도를 중심으로 지도의 내력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를 2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관동군 사령부하의 관동군측량대가 군사적 특수 목적을 위해

    제작하였던 군사 극비 병요지도의 존재와 그 의미를 밝혀냈다는 점이

    다. 군사 극비라는 지도의 특성상 그 존재가 널리 알려질 수 없었고,

    40) 몽고인이 있는 곳이면 반드시 오보가 있고 오보가 있는 곳이면 반드시 몽고

    인이 있다. 滿洲第439部隊陸軍技師 瀨川秋男, 硏究蒐錄地圖, 部外秘, 陸地測量部, 1944년 9월, p.22.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24또한 미국의 일본 점령 정책으로 탈취하여 미국 군사 관련 기관에 소

    장되어 있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에 미 의회도서관에 이관되었고, 그

    지도가 일반 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현

    재까지도 정리되지 않은 채 보관된 자료가 많은 것으로 보아 향후 이

    관련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 현황에서 선구

    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가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하였다.

    둘째, 본고에서 검토한 만주 지역 병요지도의 존재가 확인됨으로써

    일본이 소위 ‘대동아공영권’을 부르짖으며 동남아도 세력을 확대할 뿐

    만 아니라 미국과의 전쟁에서 매우 분주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을 상대로 한 또 다른 전쟁 준비라는 실체가 드러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가 확대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즉, 태평양전쟁 시기

    일본의 세계 장악 구상이 어떠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본고에서 분석한 자료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관

    련된 구체적인 연구가 심화될 필요가 있다.

  • 관동군사령부 만주 병요지도의 의미 (박선영) 325(Abstract)

    Meaning of Manchuria Military Maps

    Managed by the Guandong Army

    Headquarters:The history and meaning of 1: 200.000 scale secret military maps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Park, Sun Young

    Using newly found secret military maps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this paper will trace Japanese Guandong army’s efforts to

    produce and utilize knowledge of military secret maps, especially on

    the borders between Manchuria and the Soviet Union in early

    1940’s. Military maps were managed by the Guandong army

    headquarters through the Guandong surveyor which was established

    in 1934.

    This paper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comes to significant

    conclusions.

    First will discuss how the Japanese top secret military maps

    were collect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even though the Japanese

    military headquaters ordered that all the secret military maps be

    destroyed in 1945. Who captured these maps and what was the

    usage of maps for US military?

    This paper reveals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top secret

    military maps managed by the Guandong army headquaters with

  • 中國史硏究 第79輯 (2012. 8)326special military goals. Due to the top secret nature of the maps,

    they were not widely known by scholars because they were

    captured by the GHQ (General Headquarters) when the GHQ ruled

    Japan following the Japanese surrender in World War II and was

    transferred to a US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late 1990’s they

    were gradually transferred to the Library of Congress under the

    status of rearrangement of maps in order; they haven’t been

    completely catalogured.

    Second maps of Manchuria will be examined to explain the levels

    of meaning they contain. This paper proves that the Japanese

    military had prepared another war between Japan and Soviet Union

    in Manchuria even under the complicated situation of the Pacific

    War with the USA. In order to confront the Pacific War, Japan

    appealed to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o south

    east. This paper reveals Japan’s intentions through important new

    materials of top secret maps for preparing another war with Soviet

    Union, and acts as a pioneer to set a solid foundation to stimulate

    further research.

    주제어: 관동군사령부, 관동군측량대, 만주국측량대, 만주 병요지도, 군사극비

    關鍵詞: 關東軍司令部, 關東軍測量隊, 滿洲國測量隊, 滿洲 兵要地圖, 軍事極秘

    Keywords: the Guandong army headquaters, the Guandong army survayor,

    Manzhouguo survayor, Manchuria military maps, military top secret

    (원고접수: 2012년 4월 29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6월 11일, 수정원고 접

    수: 8월 20일, 게재 확정: 8월 25일)